본문 바로가기

복지지원 정책32

2025년, 더 좋아지는 인천생활, 교통분야 지원정책 2025년부터 신설/확대되는 , 인천광역시 각 분야 생활정책에 대하여 소개합니다. 인천시민 여러분,  필요한 부분의 지원과 혜택을미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 ♣ 자료 출처 :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☞  홈>정책정보공개>더 좋아지는 인천생활 | 정보공개포털 (incheon.go.kr)정책정보공개>더 좋아지는 인천생활 | 정보공개포털" data-og-description="국내외 투자기업 고용보조금 지원 확대 고용보조금 지원기준 완화 및 지원범위(지원액, 신청기한) 확대 시행시기 2025년 1월" data-og-host="www.incheon.go.kr" data-og-source-url="https://www.incheon.go.kr/open/OPEN060102" data-og-url="https://w.. 2025. 1. 10.
2025년, 더 좋아지는 인천생활, 경제/일자리/재정분야 지원정책 2025년부터 신설/확대되는 , 인천광역시 각 분야 생활정책에 대하여 소개합니다. 인천시민 여러분,  필요한 부분의 지원과 혜택을미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 ♣ 자료 출처 :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☞  홈>정책정보공개>더 좋아지는 인천생활 | 정보공개포털 (incheon.go.kr)정책정보공개>더 좋아지는 인천생활 | 정보공개포털" data-og-description="국내외 투자기업 고용보조금 지원 확대 고용보조금 지원기준 완화 및 지원범위(지원액, 신청기한) 확대 시행시기 2025년 1월" data-og-host="www.incheon.go.kr" data-og-source-url="https://www.incheon.go.kr/open/OPEN060102" data-og-url="https://w.. 2025. 1. 9.
2025년, 임신출산육아기 지원, 근로자 지원정책, 난임치료휴가/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고용노동부에서 지원하는, 《 임신출산육아기 근로자 지원정책 》을 소개합니다. 일하는 부모님들, 언제나 힘내세요!!!!!!!!  근로자는 인공수정, 체외수정 등 의학적 시술행위를 위한난임치료휴가를 연간 6일 이내로 사용가능합니다. 휴가기간 중 최초 2일에 대하여통상임금에 해당하는 금액(2025년 기준 상한액 160,760원)을지급합니다.   출산전 18개월 중 3개월 이상 소득활동을 한 고용보험 미적용 근로자에 대하여급여를 지원합니다. 출산(또는 유산·사산) 사실 및출산일 현재의 소득활용 여부를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.※ 위 지원사항에 대하여 더 자세하게 알고 싶다면 아래 사이트를 방문해보세요. ◈ 고용노동부 홈페이지 → 임신출산육아기 지원→ >   상세내용 바로가기 ☞ 고용노동부 일생활균형 (workli.. 2025. 1. 8.
2025년, 임신출산육아기 지원, 근로자 지원정책, 육아휴직/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및 급여/가족돌봄휴직 및 휴가 고용노동부에서 지원하는, 《 임신출산육아기 근로자 지원정책 》을 소개합니다. 일하는 부모님들, 언제나 힘내세요!!!!!!!!    임신 중인 여성근로자나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(입양자녀 포함)가 있는 남자/여자 근로자 모두는최대 1년 6개월의 육아휴직이 가능합니다.* 단, 육아휴직 시작일을 기준으로 전날까지의 계속 근로기간이 6개월 이상인 근로자 육아휴직은 최대 4번에 나눠 사용할 수 있습니다. 또한, 육아휴직 기간동안정부에서 육아휴직 급여도 지원합니다. (1~3개월) 월 최대 250만원(통상임금 100%)(4~6개월) 월 최대 100만원(통상임금 100%)(7개월~   ) 월 최대 160만원(통상임금  80%)  사업주는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사용했다는 이유로해고나 그밖의 불리한 .. 2025. 1. 8.
2025년, 임신출산육아기 지원, 근로자 지원정책, 출산전후휴가/유산사산휴가/배우자 출산휴가 및 급여 ·고용노동부에서 지원하는, 《 임신출산육아기 근로자 지원정책 》을 소개합니다. 일하는 부모님들, 언제나 힘내세요!!!!!!!!    사용자는임신 중인 여성근로자에게90일(출산 후 45일은 확보하여야 함)의 휴가를 부여해야 합니다.           * 단, 미숙아 출산의 경우에는 100일,다태아 임신한 경우에는 120일(출산 후 60일 확보)을부여합니다. 또한,출산전후휴가기간에 대하여정부가 통상임금에 해당하는 금액(상한액 월 210만원)으로급여를 지원합니다.  사용자는임신 중인 근로자가 유산 또는 사산한 경우로서,  그 근로자가 청구하면 임신 기간에 따라 10일~90일까지 휴가를 주어야 합니다. 또한,출산전후휴가 급여 지원과 동일하게 급여를 지원합니다.  배우자 출산휴가 시 20일의 휴가를 주어야 합니다.. 2025. 1. 8.
2025년, 다자녀가구, 지원정책, 지원혜택 신설 및 확대 "2025년에는다자녀 가구에 대한 지원혜택이 신설 / 확대"됩니다. 다자녀 인정기준이 3명에서 2명으로 완화되고각종 지원정책도 확대되고 있습니다. 모두모두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!!!!!!    √ 다자녀 대학등록금 지원 확대  대학생 국가장학금 수혜대상이2024년까지는 소득인정액 1~10구간 중1~8구간만 지원했는데2025년부터는 1~9구간까지 확대지원됩니다. 9구간은 기본적으로 100만원을 지원받는데, 9구간 중 3자녀 이상 다자녀 가구라면 첫째 / 둘째는 연간 135만원, 셋째 이상은 2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 ♣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(다자녀 국가장학금 안내) 바로가기  ☞ 지원대상 | 다자녀 | 국가장학금(Ⅰ,Ⅱ유형,다자녀,지방인재) | 한국장학재단 (kosaf.go.kr) 다자녀 | .. 2025. 1. 5.